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livedata
- 셀룰로오스-g-폴리락타이드 공중합체
- TowmonUSB 연결오류
- Room
- withContext
- apk이름변경
- 생분해성 플라스틱
- 데이터바인딩
- 코틀린 트리거 버튼
- compse state
- 토글 험수
- #큐구조 #큐다운로드
- var 와 val
- 1회용 플라스틱컵
- json 저장
- mutable
- compse collectAsState
- Room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
- 코틀린 이미지저장 #파일저장
- 일회용 플라스틱
- 스레드 #코루틴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애뮬레이터
- PLA
- 1회용컵
- TwomonUSB
- 라이브데이터 postValue
Archives
- Today
- Total
EnjoyLife
1회용 플라스틱 제품. 이 계륵을 어찌한단 말인가? 본문
1회용 플라스틱이라 언급한 것은 포장재 를 말하는 것이니 오해하지 마시길 바랍니다.
포장재만 대체해도 40%의 환경오염을 없애는 겁니다.
전 세계 플라스틱 사용 비율 (국가 공통 경향)
사용 비중 (%)
🧃 포장재 | 약 40% | 비닐봉지, 플라스틱 병, 과자봉지, 택배 완충재 등 → 대부분 1회용 |
🏗️ 건설자재 | 약 20% | 파이프, 창틀, 단열재, 전선 피복 → 수십 년 사용 |
🚗 자동차·기계 부품 | 약 10% | 범퍼, 대시보드, 연료탱크, 절연부품 등 |
🛋️ 소비재/가전 | 약 10% | 장난감, TV, 청소기, 플라스틱 가구 등 |
🏥 의료·산업용 | 약 5% | 주사기, 수액백, 시험관, 장갑 등 |
👕 섬유/패션 | 약 5% | 폴리에스터 옷, 가방, 운동화, 인조가죽 등 |
기타 | 나머지 | 농업용 필름, 전자부품, 3D프린팅 재료 등 |
📌 UNEP, PlasticsEurope, OECD, Statista 자료 종합 기준 (2022~2023)
포장재가 플라스틱 제품중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지 보여준것이다. 포장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우리 삶에 필요한 것이다.
포장재를 사용하는 우리 나라는?
- 포장재 사용 비율은 세계 최고 수준
-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은 전 세계 최상위권
- 1회용 컵, 배달용기, 포장필름 중심
→ 특히 편의점, 배달문화, 온라인 쇼핑의 영향 큼
우리 나라를 포함해 세계 여러 나라는 편리함·위생·보관의 이유로
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포장용으로 사용하고 있고,
이게 가장 빨리 쓰레기로 전환되는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.
✅ 포장재별 대체 가능한 소재
- 전분 기반 생분해 봉투
- 해조류 필름 봉투
- 종이봉투, 천가방(다회용) |
✔️ 생분해 가능
✔️ 물에 약한 제품은 보완 필요
✔️ 다회용일수록 친환경성↑ |
📦 택배 완충재
- 벌집모양 종이 패드 (honeycomb wrap)
- 재생지 크런치 완충지
- 물풀로 만든 생분해 땅콩폼 (corn starch foam) |
✔️ 충격 완화 우수
✔️ 100% 퇴비화 가능
✔️ 이미 네이버·쿠팡 일부 적용 중 |
🥤 플라스틱병 (물·음료 등)
- PLA 병 (옥수수 유래)
- 유리병
- 알루미늄캔 (무한 재활용)
- 재사용 가능한 물병 |
✔️ PLA는 생분해 가능 (산업 퇴비화 조건)
✔️ 유리/알루미늄은 무한 재활용 가능
✔️ 다회용 용기로 전환하면 효과 큼 |
☕ 1회용 플라스틱컵 (커피)
- 종이컵 + 수용성 코팅 (PVOH)
- 해조류 기반 컵 (Notpla 등)
- 바이오PE 컵 (식물 유래 플라스틱)
- 리유저블 텀블러 |
✔️ 리유저블은 가장 친환경
✔️ 해조류 컵은 찬 음료에 적합
✔️ 친환경 종이컵은 6~9시간 사용 가능 |
🎯 핵심 요약
항목대체 가능성현실적 대안
비닐봉지 | ✅ 매우 높음 | 전분, 종이, 천가방 |
완충재 | ✅ 높음 | 종이, 전분폼 |
플라스틱 병 | ✅ 가능 | PLA, 유리, 캔, 텀블러 |
플라스틱 컵 | ✅ 가능 | 종이컵, PLA, 텀블러 |
✅ 결론
- 대체재의 친환경성은 ‘재료+사용+폐기’ 전체로 판단해야 한다.
- 단순히 “재질이 친환경”해도, 제조공정이 오염을 유발하면 효과가 반감된다.
- "재사용 + 재활용 + 생분해 가능"이 균형을 이룰 때 가장 좋은 대안이 된다.
'일회용 플라스틱 OU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라스틱의 기능와 완전분해되는 제품 PLA/PBAT (0) | 2025.05.05 |
---|---|
플라스틱의 기능과 어느환경에서나 생분해가 되는 분자구조 (1) | 2025.05.05 |
카페에서 사용하는 1회용 컵을 대체할 생분해성 제품이 존재할까? (1) | 2025.05.05 |
생분해성 플라스틱 (0) | 2025.05.05 |